반응형

STORY 444

Windows2008Server Terminal User Config

[출처] KaiZer.co.kr Win2008를 설치하고 제일 난감했던 부분이었다. 기존에는 Standard 기준으로 봤을 때 Administrator 원격접속 2명, ENT 3명이었는데 2008에서는 1명만 접속이 된다. 기존 윈도우버젼처럼 2명 이상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1. 2008에서는 2명 Admin 계정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터미널 서비스를 설치하여야 한다. 2. 터미널 서비스 설치 후 세션 제한을 풀어준다. 끝. 이 간단한 방법을 알기 위해 수많은 삽질을 했다는 것 정도는 알아주시기 바란다. 아래는 좀더 구체적으로 설치 및 접속 스샷을 준비해 보았다. 1) 바탕화면 "컴퓨터 > 관리" 들어간다. 2) 서버관리자 창에서 아래 그림처럼 "역할 > 역할 추가" 클릭한다. 3) 역할 추..

IT 2009.03.03

낚시바늘 묶음법과 채비

[출처] 찌나라 ☞ 낚시바늘 묶음법과 채비 ▶ 쌍바늘 채비 두 개의 목줄 각각에 낚싯바늘이 하나씩 달린 채비. 외바늘 채비와 더불어 민물 붕어 낚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2개의 목줄과 그 끝에 달린 2개의 바늘이 바로 쌍바늘 채비이지만 붕어 낚시용 쌍바늘 채비는 다시 두 가지로 구분된다. 모듬 쌍바늘 채비와 벌린 쌍바늘 채비가 그것이다. 모듬 쌍바늘 채비는 젓가락을 나란히 한 것처럼 두 개의 외바늘을 합쳐 놓은 형태이며, 벌린 쌍바늘은 목줄과 목줄을 서로 다른 반대 방향으로 벌려 놓았다는 점이 다르다. 목줄에 비닐 튜브를 꿰거나 접착제를 칠함으로써 목줄이 서로 엉키지 않게끔 만든 것도 있는데, 이 채비는 그 모양이 마치 양팔을 벌린 것과 같다 해서 양팔편대 채비라고도 부르는 사람도 있다. 때로는 물지게..

MyStory/Fishing 2009.01.21

재밌는 사진 - 거울사진

거울을 이용한 사진은 재미있는 효과를 만들어준다. 사물을 반사하는 거울의 특성을 이용하면 추상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 있으며 현실에서는 만나기 힘든 장면을 묘사할 수도 있다. 지루한 일상의 풍경을 거울을 이용해 재미있게 바꿔보자. [렌즈전면에 거울을 놓고 촬영한다.] 촬영법 작은 거울과 카메라 삼각대만 준비된다면 누구나 쉽게 촬영을 할 수 있다. 먼저 경계선이 자연스러운 구도를 만든다. 복잡한 경계선은 부자연스러운 사진을 만들기 쉬우며 지저분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촬영대상을 선정 했다면 삼각대에 카메라를 고정시키고 구도를 잡는다. 이때 경계선이 되는 부분을 전체화면의 1/3 하단에 위치하게 한다. 렌즈 전면에 거울을 놓고 거울의 각도를 조절하며 촬영한다. 카메라 셔터를 누르면서 거울의 각도를 조정하는 일..

MyStory/Camera 2009.01.08

매듭법

라인과 훅/루어/도래을 연결할때 사용하는 매듭 유니노트(uni knot) Hangman's Knot또는던컨루프매듭이라고도 합니다. 민물 견지 바다낚시에서 안돌려 묶기와 같은 매듭입니다. 0.20이하는 5회~7회 0.33이상은 3회정도 일반적으로는 4회정도 돌려 묶는것이 좋습니다 가장 강한 매듭법이며 제가 즐겨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클린치노트(Clinch Knot) 꽈배기 매듭 더블 클린치노트(HALF BLOOD KNOT) GRINNER KNOT CENTAUNI KNOT 팔로마노트(Palomar knot)PALOMAR KNOT 다운샷(언더/드랍샷)리그에서 싱커 위의 훅을 결합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매듭이다 Scaffold Knot(교수형매듭:직역) 매듭 만들기가 가장 간편하다. Snelling knots 이매..

MyStory/Fishing 2009.01.08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4)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4. 勸學篇 배움에는 남녀노소가 없는 법 朱子曰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주자왈 물위금일불학이유래일 물위금년불학이유래년 日月逝矣 歲不我延 嗚呼老矣 是誰之愆 일월서의 세불아연 오호로의 시수지건 ☞ 주자가 말하기를, "오늘 배우지 아니하고서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며, 올해에 배우지 아니하고서 내년이 있다고 말하지 말라. 날과 달은 흐르니 세월은 나를 위하여..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3)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3. 廉義篇 염치(廉恥 : 결백하고 정직하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와 의리(義理 :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바른 도리)에 관한 이야기들 印觀賣綿於市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 有鳶攫其綿 墮印觀家 인관매면어시 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 유연확기면 타인관가 印觀 歸于署調曰 鳶墮汝綿於吾家 故 還汝 인관 귀우서조왈 연타여면어오가 고 환여 署調曰 鳶攫綿與汝 天也 吾何爲受 서조왈 연확면여..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2)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2. 續孝行篇 효행편의 속편으로 효심(孝心)을 담은 이야기들이 있다. 孫順 家貧 與其妻傭作人家以養母 有兒每奪母食 손순 가빈 여기처용작인가이양모 유아매탈모식 順謂妻曰 兒奪母食 兒可得 母難再求 乃負兒往歸醉山北郊 순위처왈 아탈모식 아가득 모난재구 내부아왕귀취산북교 欲埋堀地 忽有甚奇石鐘 驚怪試撞之 容可愛 욕매굴지 홀유심기석종 경괴시당지 용용가애 妻曰得此奇物 殆兒之福 埋之不可 ..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1)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八反歌 八首 부모 모시기와 자식 기르기 사이에서 갖는 여덟 가지 상반된 마음을 노래 幼兒或我 我心覺喜 父母嗔怒我 我心反不甘 유아혹리아 아심각환희 부모진노아 아심반불감 一喜一不甘 待兒待父心何懸 일환희일불감 대아대부심하현 勸君今日逢親怒 也應將親作兒看 권군금일봉친노 야응장친작아간 ☞ 어린 아이가 혹시 나를 꾸짖으면 나의 마음은 기쁨을 깨닫고, 부모가 나에게 화를 내면 ..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0)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0. 增補篇 周易曰 善不積 不足以成名 惡不積 不足以滅身 주역왈 선부적 부족이성명 악부적 부족이멸신 小人 以小善爲无益而弗爲也 以小惡爲无傷而弗去也 소인 이소선위무익이불위야 이소악위무상이불거야 故 惡積而不可掩 罪大而不可解 고 악적이불가엄 죄대이불가해 ☞ 에 이르기를, "선을 쌓지 않으면 이름을 이룰 수 없을 것이요, 악을 쌓지 않으면 몸을 망치지 않을 수 있거늘, 소인은 조..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9)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9. 婦行篇 현대에 있어 현모양처(賢母良妻)와 부덕(婦德)의 의미는? 益智書云 女有四德之譽 익지서운 여유사덕지예 一曰婦德 二曰婦容 三曰婦言 四曰婦工也 일왈부덕 이왈부용 삼왈부언 사왈부공야 ☞ 에 이르기를, "여자는 네 가지 칭찬받을 덕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婦德)을 말하고, 둘째는 부용(婦容)을 말하고, 셋째는 부언(婦言)을 말하며, 넷째는 부공(婦工)을 말한다." ..

Study 2009.01.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