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ORY 444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8)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8. 交友篇 芝蘭之交(지란지교)를 꿈꾸며... 子曰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久而不聞其香 卽與之化矣 자왈 여선인거 여입지란지실 구이불문기향 즉여지화의 與不善人居 如入鮑魚之肆 久而不聞其臭 亦與之化矣 여불선인거 여입포어지사 구이불문기취 역여지화의 丹之所藏者赤 漆之所藏者黑 是以 君子必愼其所與處者焉 단지소장자적 칠지소장자흑 시이 군자필신기소여처자언 ☞ 공자가 말하기를, "선한 사..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7)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7. 言語篇 술은 나를 알아주는 친구를 만나면 천 잔도 적고, 말은 기회가 맞지 않으면 한 마디도 많다. 劉會曰 言不中理 不如不言 유회왈 언부중리 불여불언 ☞ 유회가 말하기를,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하다." ▷ 유회(?) ▷ 中 : 맞을 중 ▷ 不如 = 不若 : ~만 같지 못하다, ~만 못하다 一言不中 千語無用 일언부중 천어무용 ☞ 한 마디 말이..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6)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5. 安義篇 현명한 이는 가족을 사랑하고 어리석은 이는 가족을 멀리한다. 顔氏家訓曰 夫有人民而後有夫婦 有夫婦而後有父子 안씨가훈왈 부유인민이후유부부 유부부이후유부자 有父子而後有兄弟 一家之親 此三者而已矣 유부자이후유형제 일가지친 차삼자이이의 自玆以往 至于九族 皆本於三親焉 자자이왕 지우구족 개본어삼친언 故 於人倫 爲重也 不可無篤 고 어인륜 위중야 불가무독 ☞ 안씨 가훈에 이..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5)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5. 安義篇 현명한 이는 가족을 사랑하고 어리석은 이는 가족을 멀리한다. 顔氏家訓曰 夫有人民而後有夫婦 有夫婦而後有父子 안씨가훈왈 부유인민이후유부부 유부부이후유부자 有父子而後有兄弟 一家之親 此三者而已矣 유부자이후유형제 일가지친 차삼자이이의 自玆以往 至于九族 皆本於三親焉 자자이왕 지우구족 개본어삼친언 故 於人倫 爲重也 不可無篤 고 어인륜 위중야 불가무독 ☞ 안씨 가훈에 이..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4)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3. 治政篇 공무원은 나라의 공복(公僕)이니 淸(청렴), 愼(근신), 勤(근면)이 처신하는 자세이다. 明道先生曰 一命之士 苟有存心於愛物 於人必有所濟 명도선생왈 일명지사 구유존심어애물 어인필유소제 ☞ 명도선생이 말하기를, "처음으로 벼슬을 얻는 사람이라도 진실로 남을 사랑하는 마음을 지닌다면 남에게 반드시 도움을 주는 바가 있을 것이다." ▷ 一命之士; 처음으로 벼슬을 ..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3)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3. 治政篇 공무원은 나라의 공복(公僕)이니 淸(청렴), 愼(근신), 勤(근면)이 처신하는 자세이다. 明道先生曰 一命之士 苟有存心於愛物 於人必有所濟 명도선생왈 일명지사 구유존심어애물 어인필유소제 ☞ 명도선생이 말하기를, "처음으로 벼슬을 얻는 사람이라도 진실로 남을 사랑하는 마음을 지닌다면 남에게 반드시 도움을 주는 바가 있을 것이다." ▷ 一命之士; 처음으로 벼슬을 ..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2)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2. 立敎篇 배움의 뜻을 바로 세워(立敎) 세상에 몸을 세운다(立身). 子曰 立身有義而孝爲本 喪祀有禮而哀爲本 자왈 입신유의이효위본 상사유례이애위본 戰陣有列而勇爲本 治政有理而農爲本 전진유열이용위본 치정유리이농위본 居國有道而嗣爲本 生財有時而力爲本 거국유도이사위본 생재유시이력위본 ☞ 공자가 말하기를, "입신(立身)에는 의(義)가 있으니 효가 근본이요, 상(喪)과 제사에 예(..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1)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1. 省心篇 上 살아가면서 한번쯤 자신의 마음을 되돌아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景行錄云 寶貨 用之有盡 忠孝 享之無窮 경행록운 보화 용지유진 충효 향지무궁 ☞ 에 이르기를, "보화(寶貨)는 쓰면 다함(끝)이 있으나, 충효(忠孝)는 누려도 다함이 없다." ▷ 貨 : 재화 화, 재물 화 ▷ 盡 : 다할 진 ▷ 享 : 누릴 향. *누리다 = 마음껏 겪으면서 맛봄 ▷ 窮 : ..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0)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0. 訓子篇 자식에게 천금을 주기보다는 한 가지 재주를 가르치는 것이 낫다. 景行錄云 賓客不來 門戶俗 詩書無敎 子孫愚 경행록운 빈객불래 문호속 시서무교 자손우 ☞ 에 이르기를, "손님이 찾아오지 않으면 집안이 저속(低俗 또는 비속(卑俗))해지고, 시서(詩書 : 詩經과 書經)를 가르치지 않으면 자손이 어리석어진다." ▷ 賓 : 손 빈 ▷ 門 : 문 문 ▷ 戶 : 지게 호..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9)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8. 戒性篇 성품을 경계하도록 하는 경구들이 실려 있다. 참을 인(忍)자 셋이면 살인도 피하고, 참고 또 참으면 불행도 피해간다. 景行錄云 人性如水 水一傾則不可復 性一縱則不可反 경행록운 인성여수 수일경즉불가복 성일종즉불가반 制水者必以堤防 制性者必以禮法 제수자필이제방 제성자필이예법 ☞ 에 이르기를,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아서 물이 한번 기울어져 쏟아지면 다시 담을 수 없..

Study 2009.01.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