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ORY 444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8)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8. 戒性篇 성품을 경계하도록 하는 경구들이 실려 있다. 참을 인(忍)자 셋이면 살인도 피하고, 참고 또 참으면 불행도 피해간다. 景行錄云 人性如水 水一傾則不可復 性一縱則不可反 경행록운 인성여수 수일경즉불가복 성일종즉불가반 制水者必以堤防 制性者必以禮法 제수자필이제방 제성자필이예법 ☞ 에 이르기를,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아서 물이 한번 기울어져 쏟아지면 다시 담을 수 없..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7)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7. 存心篇 인의(仁義)의 마음 지키기를 성(城) 지키듯이 하라. 景行錄云 坐密室如通衢 馭寸心如六馬 可免過 경행록운 좌밀실여통구 어촌심여육마 가면과 ☞ 에 이르기를, "밀실(密室)에 앉아 있더라도 마치 네 거리에 앉은 것처럼 여기고, 작은 마음 다스리기를 마치 여섯필의 말을 부리듯 하면 허물을 면할 수 있다." ▷ 坐 : 앉을 좌 座 : 자리 좌 ▷ 密室(사방이 막혀 있..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6)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6. 安分篇 안분지족(安分之足)의 처세(處世). 분수를 지키면 욕됨이 없고 마음이 편안해진다. 景行錄云 知足可樂 務貪則憂 경행록운 지족가락 무탐즉우 ☞ 에 이르기를, "만족함을 알면 즐거울 것이요, 탐하기를 힘쓰면 곧 근심이 된다." ▷ 足 : 넉넉할 족, 족할 족 ▷ 務 : 힘쓸 무 ▷ 貪 : 탐할 탐 知足者 貧賤亦樂 不知足者 富貴亦憂 지족자 빈천역락 부지족자 부귀역우..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5)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5. 正己篇 맑은 마음과 바른 몸가짐을 가지는 수신(修身)에 도움이 되는 글귀들이 수록되어 있다. 性理書云 見人之善而尋己之善 성리서운 견인지선이심기지선 見人之惡而尋己之惡 如此方是有益 견인지악이심기지악 여차방시유익 ☞ 에 이르기를, "남의 착한 것을 보고서 자신의 착함을 찾고, 남의 악한 것을 보고서 자신의 악함을 찾아야 할 것이니, 이와 같이 하게 되면 바야흐로 유익함이..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4)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4. 孝行篇 백행(百行)의 근본이라 하는 효(孝)에 관한 글귀들이 쓰여 있다. 詩曰 父兮生我 母兮鞠我 哀哀父母 生我勞 시왈 부혜생아 모혜국아 애애부모 생아구로 欲報深恩 昊天罔極 욕보심은 호천망극 ☞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 나를 기르시니, 아! 슬프도다, 부모님이시여,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시고 고생하셨다. 그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하나, ..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3)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3. 順命篇 하늘의 이치, 자연의 이치를 거스리지 않고 자신의 본분과 분수에 맞는 생활에 관한 글귀들이 쓰여 있다. 子曰 死生有命 富貴在天 자왈 사생유명 부귀재천 ☞ 공자가 말하기를, "죽고 사는 것은 천명(天命)에 있고, 부귀(富貴)는 하늘에 달려 있다." ▷ 命 : ①목숨→生命 ②운명 · 운수→運命 ③명령→天命 ④이름짓다→命名 ⑤표적→命中 ▷ 天 : 천명, 운명, 하..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 天命篇 선을 지키고 악을 버리는 하늘의 진리, 하늘의 명에 관한 글귀들이 있다. 子曰 順天者存 逆天者亡 자왈 순천자존 역천자망 ☞ 공자가 말하기를, "하늘에 순응하는 자는 살고, 하늘을 거역하는 자는 망한다." ▷ 順 : 좇을 순, 순할 순 ▷ 逆 : 거스를 역 康節邵先生曰 天聽寂無音 蒼蒼何處尋 강절소선생왈 천청적무음 창창하처심 非高亦非遠 都只在人心 비고역비원 도지..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 (1)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 繼善篇 계선편에는 선악(善惡)에 관한 글귀들이 수록되어 있다. 子曰 爲善者 天報之以福 爲不善者 天報之以禍 자왈 위선자 천보지이복 위불선자 천보지이화 ☞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을 주시고, 악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화를 주신다." ▷ 子는 夫子의 줄임말로 공자(孔子, B.C. 551∼479)의 존칭이다. 공자는 노(魯)..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2 _ 사자소학

[참조] http://deungdae.hihome.com/sajasohak.htm 효행(孝行) 父 生 我 身 父生我身(부생아신)하시고 : 아버지는 내 몸을 낳으시고 아비 부 날 생 나 아 몸 신 母 鞠 吾 身 母鞠吾身(모국오신)이로다 : 어머니는 내 몸을 기르셨네. 어미 모 기를 국 나 오 몸 신 腹 以 懷 我 腹以懷我(복이회아)하시고 : 배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배 복 써 이 품을 회 나 아 乳 以 哺 我 乳以哺我(유이포아)하시며 : 젖으로써 나를 먹여 주시며 젖 유 써 이 먹을 포 나 아 以 衣 溫 我 以衣溫我(이의온아)하시고 : 옷으로써 나를 따뜻하게 하시고 써 이 옷 의 따뜻할 온 나 아 以 食 飽 我 以食飽我(이식포아)하시니 : 밥으로써 나를 배부르게 하시니 ※飽→活(살 활)을 사용하여 "밥으로..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1 _ 천자문

천자문 사자소학 명심보감 [천자문] 天 地 玄 黃 天地玄黃(천지현황) : 하늘은 위에 있으니 그 빛이 검고 그윽하며, 땅은 아래 있으니 그 빛이 누르다. 하늘 천 땅 지 검을 현 누를 황 宇 宙 洪 荒 宇宙洪荒(우주홍황) : 하늘과 땅 사이는 넓고 커서 끝이 없다. 즉 세상의 넓음을 말한다. 집 우 집 주 넓을 홍 거칠 황 日 月 盈 日月盈(일월영측) : 해는 서쪽으로 기울고 달도 차면 점차 이지러진다. 즉 우주의 진리를 말한다. 날 일 달 월 찰 영 기울 측 辰 宿 列 張 辰宿列張(진숙열장) : 별자리가 하늘에 넓게 벌려져 있음을 말한다. 별 진 잘 숙 벌일 열 베풀 장 寒 來 暑 往 寒來暑往(한래서왕) : 추위가 오면 더위가 가고 더위가 오면 추위가 간다. 즉 계절의 바뀜을 말한다. 찰 한 올 래 더..

Study 2009.01.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