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udy 29

[MP3활용] MP3와 함께 하는 영어회화 학습

[MP3활용] MP3와 함께 하는 영어회화 학습 명진규 기자 almach@inews24.com 2005년 04월 03일 "국내 최초 유무선 통합 모바일 블로그 솔루션.. 위드웨이브와 상의하십시요" 듣고 또 듣는 것이 영어학습의 왕도 MP3 플레이어를 구입해 매일같이 노래만 듣고 있지는 않은가? 하루 1시간 정도만이라도 영어학습에 투자해 보는 것은 어떨까? 인터넷에는 MP3 파일로 인코딩된 다양한 영어학습 자료들이 있다. 영어학습에 왕도는 없다. 듣고 또 듣고, 보고 또 보고, 말하고 또 말하는 것 뿐. 인터넷에 있는 다양한 영어학습 자료들을 이용해 MP3의 활용도를 크게 넓혀보자. 초등학교 이전을 제외하더라도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쳐 대학까지. 총 10년 이상 영어를 공부하지만 영어 노래 가사나 간단한 ..

Study 2010.04.26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4)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4. 勸學篇 배움에는 남녀노소가 없는 법 朱子曰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주자왈 물위금일불학이유래일 물위금년불학이유래년 日月逝矣 歲不我延 嗚呼老矣 是誰之愆 일월서의 세불아연 오호로의 시수지건 ☞ 주자가 말하기를, "오늘 배우지 아니하고서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며, 올해에 배우지 아니하고서 내년이 있다고 말하지 말라. 날과 달은 흐르니 세월은 나를 위하여..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3)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3. 廉義篇 염치(廉恥 : 결백하고 정직하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와 의리(義理 :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바른 도리)에 관한 이야기들 印觀賣綿於市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 有鳶攫其綿 墮印觀家 인관매면어시 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 유연확기면 타인관가 印觀 歸于署調曰 鳶墮汝綿於吾家 故 還汝 인관 귀우서조왈 연타여면어오가 고 환여 署調曰 鳶攫綿與汝 天也 吾何爲受 서조왈 연확면여..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2)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2. 續孝行篇 효행편의 속편으로 효심(孝心)을 담은 이야기들이 있다. 孫順 家貧 與其妻傭作人家以養母 有兒每奪母食 손순 가빈 여기처용작인가이양모 유아매탈모식 順謂妻曰 兒奪母食 兒可得 母難再求 乃負兒往歸醉山北郊 순위처왈 아탈모식 아가득 모난재구 내부아왕귀취산북교 欲埋堀地 忽有甚奇石鐘 驚怪試撞之 容可愛 욕매굴지 홀유심기석종 경괴시당지 용용가애 妻曰得此奇物 殆兒之福 埋之不可 ..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1)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八反歌 八首 부모 모시기와 자식 기르기 사이에서 갖는 여덟 가지 상반된 마음을 노래 幼兒或我 我心覺喜 父母嗔怒我 我心反不甘 유아혹리아 아심각환희 부모진노아 아심반불감 一喜一不甘 待兒待父心何懸 일환희일불감 대아대부심하현 勸君今日逢親怒 也應將親作兒看 권군금일봉친노 야응장친작아간 ☞ 어린 아이가 혹시 나를 꾸짖으면 나의 마음은 기쁨을 깨닫고, 부모가 나에게 화를 내면 ..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0)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0. 增補篇 周易曰 善不積 不足以成名 惡不積 不足以滅身 주역왈 선부적 부족이성명 악부적 부족이멸신 小人 以小善爲无益而弗爲也 以小惡爲无傷而弗去也 소인 이소선위무익이불위야 이소악위무상이불거야 故 惡積而不可掩 罪大而不可解 고 악적이불가엄 죄대이불가해 ☞ 에 이르기를, "선을 쌓지 않으면 이름을 이룰 수 없을 것이요, 악을 쌓지 않으면 몸을 망치지 않을 수 있거늘, 소인은 조..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9)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9. 婦行篇 현대에 있어 현모양처(賢母良妻)와 부덕(婦德)의 의미는? 益智書云 女有四德之譽 익지서운 여유사덕지예 一曰婦德 二曰婦容 三曰婦言 四曰婦工也 일왈부덕 이왈부용 삼왈부언 사왈부공야 ☞ 에 이르기를, "여자는 네 가지 칭찬받을 덕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婦德)을 말하고, 둘째는 부용(婦容)을 말하고, 셋째는 부언(婦言)을 말하며, 넷째는 부공(婦工)을 말한다." ..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8)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8. 交友篇 芝蘭之交(지란지교)를 꿈꾸며... 子曰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久而不聞其香 卽與之化矣 자왈 여선인거 여입지란지실 구이불문기향 즉여지화의 與不善人居 如入鮑魚之肆 久而不聞其臭 亦與之化矣 여불선인거 여입포어지사 구이불문기취 역여지화의 丹之所藏者赤 漆之所藏者黑 是以 君子必愼其所與處者焉 단지소장자적 칠지소장자흑 시이 군자필신기소여처자언 ☞ 공자가 말하기를, "선한 사..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7)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7. 言語篇 술은 나를 알아주는 친구를 만나면 천 잔도 적고, 말은 기회가 맞지 않으면 한 마디도 많다. 劉會曰 言不中理 不如不言 유회왈 언부중리 불여불언 ☞ 유회가 말하기를,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하다." ▷ 유회(?) ▷ 中 : 맞을 중 ▷ 不如 = 不若 : ~만 같지 못하다, ~만 못하다 一言不中 千語無用 일언부중 천어무용 ☞ 한 마디 말이..

Study 2009.01.02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16)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5. 安義篇 현명한 이는 가족을 사랑하고 어리석은 이는 가족을 멀리한다. 顔氏家訓曰 夫有人民而後有夫婦 有夫婦而後有父子 안씨가훈왈 부유인민이후유부부 유부부이후유부자 有父子而後有兄弟 一家之親 此三者而已矣 유부자이후유형제 일가지친 차삼자이이의 自玆以往 至于九族 皆本於三親焉 자자이왕 지우구족 개본어삼친언 故 於人倫 爲重也 不可無篤 고 어인륜 위중야 불가무독 ☞ 안씨 가훈에 이..

Study 2009.01.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