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한자 배우기3 _ 명심보감(21)

2009. 1. 2. 20:36
반응형
[출처] http://deungdae.hihome.com/myungsim.htm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八反歌 八首

        부모 모시기와 자식 기르기 사이에서 갖는 여덟 가지 상반된 마음을 노래

 

 

 幼兒或我 我心覺喜 父母嗔怒我 我心反不甘

 유아혹리아      아심각환희      부모진노아     아심반불감

 

 喜一不甘 待兒待父心何懸

 일환희일불감       대아대부심하현

 

 勸君今日逢親怒 也應將親作兒看

 권군금일봉친노       야응장친작아간

 

 

  ☞ 어린 아이가 혹시 나를 꾸짖으면 나의 마음은 기쁨을 깨닫고, 부모가 나에게 화를 내면 나의 마음은 도리어 달가워하지 않는다. 하나는 기쁘고 하나는 달갑지 않으니, 아이를 대하는 마음과 어버이를 대하는 마음이 어찌 이렇게도 현격(懸隔)한가? 그대에게 권하니, 오늘 어버이에게 꾸지람을 듣거든 어린 자식에게 꾸지람을 들을 때와 같이 하라.

  ▷ 或 : 혹시 혹  ▷ : 꾸짖을 리  ▷ 覺 : 깨달을 각  ▷ : 기뻐할 환 = 歡  ▷ 喜 : 기쁠 희  ▷ 嗔 : 성낼 진  ▷ 怒 : 성낼 노  ▷ 反 : 되돌릴 반  *여기서는 '도리어'(부사)의 뜻  ▷ 甘 : 달 감. '~을 달게 여기다'  ▷ 待 : 대할 대  ▷ 何 : 어찌 하  ▷ 懸 : 멀 현, 현격할 현  *현격(懸隔) : 거리가 멀거나 차이가 큼  ▷ 勸 : 권할 권  ▷ 君 : 자네 군, 그대 군  ▷ 逢 : 만날 봉  ▷ 也 = 亦 '또한'의 뜻  ▷ 應 : 응할 응  ▷ 將 : 써 장, 가지고 장 = 以  *장계취계(將計就計)  ▷ 看 : 볼 간  *作兒看 : 아이 보듯 하다

 

 

 

 兒曹出千言 君聽常不厭 父母一開口 便道多閑管

 아조출천언      군청상불염     부모일개구      변도다한관

 

 非閑管親掛牽 皓首白頭多

 비한관친괘견      호수백두다암련

 

 勸君敬奉老人言 莫敎乳口爭長短

 권군경봉노인언       막교유구쟁장단

 

 

  ☞ 어린 자식들은 여러 말을 하지만 그대는 언제나 듣기를 싫어하지 않고, 어버이는 한번 말을 하여도 곧 잔소리가 많다고 한다. 쓸데없는 잔소리가 아니라 어버이는 마음이 쓰여 그런 것이다. 흰머리가 되도록 긴 세월에 아는 것이 많기 마련이다. 그대에게 권하니, 늙은 사람의 말을 공경하여 받들고, 젖 냄새나는 입으로 일의 길고 짧음(옳고 그름)을 다투지 말라.

  ▷ 曹 : 무리 조, 떼 조  *다른 말에 붙어 복수형으로 만듦. 汝曹 : 너희들  ▷ 常 : 항상 상  ▷ 厭 : 싫을 염  ▷ 便 : 문득 변, 곧 변  ▷ 道 : 말할 도  ▷ 閑 : 가로막을 한  ▷ 管 : 주관할 관, 관리할 관  *閑管 : 쓸데없는 간섭  ▷ 親 : 어버이 친  ▷ 掛 : 걸 괘. 마음에 걸리다  ▷ 牽 : 끌 견, 거리낄 견  *掛牽 : 마음에 걸리고 거리껴짐  ▷ 皓 : 흴 호  ▷ : 욀 암, 깨달을 암  ▷ 練 : 익힐 련, 경험할 련  ▷ 莫 : ~하지 말라(금지)  ▷ 敎 = 令, 使, 命 : ~로 하여금 ~하게 하다(使動形보조사)  ▷ 乳 : 젖 유  ▷ 爭 : 다툴 쟁

 

 

 

 幼兒尿糞穢 君心無厭忌 老親涕唾零 反有憎嫌意

 유아뇨분예      군심무염기      노친체타영      반유증혐의

 

 六尺軀來何處 父精母血成汝體

 육척구래하처       부정모혈성여체

 

 勸君敬待老來人 壯時爲爾筋骨

 권군경대로래인       장시위이근골폐

 

 

  ☞ 어린 자식의 오줌과 똥 같은 더러운 것은 그대 마음에 싫어하거나 거리낌이 없으나, 늙은 어버이의 눈물과 침이 떨어지는 것은 도리어 미워하고 싫어하는 마음이 있다. 여섯 자 몸이 어디에서 왔는가. 아버지의 정기와 어머니의 피로 너의 몸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대에게 권하니, 늙어 가는 사람을 공경하여 대접하라. (그들은) 젊었을 때 너를 위하여 살과 뼈가 닳도록 애를 쓰셨으니.

  ▷ 尿 : 오줌 뇨  ▷ 糞 : 똥 분  ▷ 穢 : 더러울 예  ▷ 忌 : 꺼릴 기, 싫어할 기  ▷ 涕 : 눈물 체  ▷ 唾 : 침 타  ▷ 零 : 떨어질 령  ▷ 反 : 도리어  ▷ 憎 : 미워할 증  ▷ 嫌 : 싫어할 혐  ▷ 軀 : 몸 구  ▷ 何處 : 어디에서, 어느 곳에서  ▷ 精 : 정기 정  ▷ 汝 : 너 여  ▷ 老來人 : 늙어 가는 사람  ▷ 壯 : 씩씩할 장, 성할 장  ▷ 爲 : 위할 위  ▷ 爾 : 너 이  ▷ 筋 : 힘줄 근  ▷ : 해질 폐, 부서질 폐

 

 

 

 看君晨入市 買餠又買 少聞供父母 多說供兒曹

 간군신입시      매병우매고      소문공부모      다설공아조

 

 親未啖兒先飽 子心不比親心好

 친미담아선포      자심불비친심호

 

 勸君多出買餠錢 供養白頭光陰少

 권군다출매병전       공양백두광음소

 

 

  ☞ 그대가 새벽에 시장에 들어가서 떡과 경단을 사는 것을 보았으나, 부모에게 드린다는 말은 별로 듣지 못하고 자식들에게 준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어버이는 아직 먹지도 아니 하였는데 자식이 먼저 배부르니, 자식의 마음은 부모 마음이 좋아하는 것에 비하지 못하리라. 그대에게 권하니, 떡 살 돈을 많이 내서 흰머리의 어버이를 잘 받들어 공양하라, 세월은 길지 않으니…

  ▷ 看 : 볼 간  ▷ 晨 : 새벽 신  ▷ 買 : 살 매  ▷ 餠 : 떡 병  ▷ 又 : 또 우  ▷ : 떡 고, 경단 고  *경단 : 고물을 묻힌 둥근 떡  ▷ 供 : 바칠 공  ▷ 兒曹 : 아이들  ▷ 啖 : 먹을 담  ▷ 飽 : 배부를 포  ▷ 比 : 견줄 비, 비할 비  ▷ 錢 : 돈 전  ▷ 供養 : 어른에게 음식을 드림  ▷ 光陰 : 시간, 세월 = 백구(白駒)

 

 

 

 市間賣藥肆 唯有肥兒丸 未有壯親者 何故兩般看

 시간매약사     유유비아환      미유장친자     하고량반간

 

 兒亦病親亦病 醫兒不比醫親症

 아역병친역병      의아불비의친증

 

 割股還是親的肉 勸君保雙親命

 할고환시친적육       권군극보쌍친명

 

 

  ☞ 시장의 약 파는 가게에 오직 아이를 살찌게 하는 약만 있고, 어버이를 튼튼하게 하는 약은 없으니 무슨 까닭에 이 두 가지로 (차이를 두고) 보는가. 아이도 병들고 어버이도 병들기는 마찬가지이거늘 아이의 병을 고치는 것이 어버이의 병을 고치는 것에 비할 수가 없구나. 다리를 베더라도 그것 역시 어버이의 살이니(어버이가 물려주신 살이니), 그대에게 권하니 조속히 어버이의 목숨을 극진히 보호하라.

  ▷ 賣 : 팔 매  ▷ 肆 : 저자 사, 가게 사  ▷ 唯 : 오직 유  ▷ 肥 : 살찔 비  ▷ 丸 : 알 환, 약 환  ▷ 未 : 아직 ~하지 아니하다  ▷ 壯 : 씩씩할 장, 성할 장  ▷ '壯親者'의 者 = 藥  ▷ 何 : 어찌, 무슨  ▷ 故 : 까닭 고  ▷ 般 : 가지 반  *兩般 : 두 가지  ▷ 醫 : 치료할 의  ▷ 症 : 병 증세 증  ▷ 割 : 벨 할  ▷ 股 : 넓적다리 고  ▷ 還 : '도리어'(부사) *還是~ : '도리어 ~이다'  ▷ 的 = 之 '~의'(관형격조사)  ▷ : 급할 극, 조속히 극  ▷ 保 : 보전할 보, 지킬 보  ▷ 命 : 목숨 명

 

 

 

 富貴養親易 親常有未安 貧賤養兒難 兒不受饑寒

 부귀양친이      친상유미안      빈천양아난      아불수기한

 

 一條心兩條路 爲兒終不如爲父

 일조심량조로      위아종불여위부

 

 勸君兩親如養兒 凡事莫推家不富

 권군양친여양아       범사막추가불부

 

 

  ☞ 부유하고 귀할 때에는 어버이를 봉양하기 쉬우나 어버이는 항상 미안한 마음이 있고, 가난하고 천할 때에는 아이를 기르기 어려우나 아이는 배고프고 추운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마음은 한 가지이나 두 가지 길(어버이를 위함과 아이를 위함)이니, 아이를 위함이 끝내 어버이를 위함만 같지 못하다. 권하니 그대는 어버이 섬기기를 아이를 기르는 것과 같이 하고, 모든 일을 집안이 넉넉하지 못해서라고 미루지 말라.

  ▷ 易(쉬울 이) ↔ 難(어려울 난)  ▷ 未 : 아닐 미  ▷ 受 : 받을 수  ▷ 饑 : 주릴 기 = 飢  ▷ 條 : 가지 조  ▷ 兩 = 二  ▷ 路 : 길 로  ▷ 爲 : 위할 위  ▷ 終 : 마침내, 결국, 끝내  ▷ 不如 = 不若 : ~만 같지 못하다, ~만 못하다  ▷ 凡 : 무릇 범, 모두 범, 다 범  ▷ 莫 : ~하지 말라(금지)  ▷ 推 : 밀 추

 

 

 

 養親只二人 常與兄弟爭 養兒雖十人 君皆獨自任

 양친지이인     상여형제쟁      양아수십인      군개독자임

 

 兒飽暖親常問 父母饑寒不在心

 아포난친상문      부모기한부재심

 

 勸君養親須竭力 當初衣食被君侵

 권군양친수갈력       당초의식피군침

 

 

  ☞ 어버이를 받들고 섬길 때에는 (어버이는) 두 분뿐인데도 늘 형제가 서로 다투고, 아이를 기를 때에는 (아이가) 비록 열 명이나 되어도 모두 자기 혼자 맡는다. 아이가 배부르고 따뜻한가는 그 어버이가 늘 물어보면서, 부모의 배고프고 추운 것은 마음에 두지 않는다. 그대에게 권하니, 어버이를 받들고 섬기기에 모름지기 힘을 다하라. (어버이는) 애당초 입을 것과 먹을 것을 그대에게 빼앗겼다.

  ▷ 只 : 다만 지  ▷ 常 : 항상 상  ▷ 與 : 더불어 여. ~와(과)  ▷ 雖 : 비록 수  ▷ 君 : 그대, 자네  ▷ 皆 : 다 개  ▷ 任 : 맡을 임  ▷ 飽 : 배부를 포  ▷ 暖 : 따뜻할 난  ▷ 須 : 모름지기 수, 마땅히 수  ▷ 竭 : 다할 갈  ▷ 被 : ~을 당하다(피동)  ▷ 侵 : 침노할 침, 범할 침

 

 

 

 親有十分慈 君不念其恩 兒有一分孝 君就揚其名

 친유십분자     군불념기은      아유일분효      군취양기명

 

 待親暗待子明 誰識高堂養子心

 대친암대자명      수식고당양자심

 

 勸君漫信兒曹孝 兒曹親子在君身

 권군만신아조효       아조친자재군신

 

 

  ☞ 어버이는 십분(十分, 충분히) 그대를 사랑하고 있으나 그대는 그 은혜를 생각하지 않고, 자식이 일분(一分, 조금)이라도 효도함이 있으면 그대는 곧 그 이름을 널리 빛내려 한다. 어버이를 대접함엔 어둡고 자식을 대함에는 밝으니, 누가 어버이의 자식 기르는 마음을 알아줄 것인가? 그대에게 권하니, 아이들의 효도를 믿지 말라. 아이들의 어버이인 그대 또한 (부모의) 자식이 되는 것이다.

  ▷ 親 : 어버이 친  ▷ 慈 : 사랑할 자  ▷ 其 : 그 기  ▷ 就 : 곧 취  ▷ 揚 : 오를 양, 날릴 양  ▷ 待 : 대할 대, 대접할 대  ▷ 暗 : 어두울 암  ▷ 子 : 자식 자  ▷ 誰 : 누구 수  ▷ 識 : 알 식  ▷ 高堂 : 남의 부모를 높여 부르는 말  ▷ 漫 : 부질없을 만  ▷ 兒曹 : 아이들 *兒曹親 : 아이들의 어버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