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 데스크톱 연결 관리 RDCM 소개
윈도우 서버 2008 R2 공부하다가 유용한 툴을 발견하여 소개합니다. 윈도우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 필요할 때 기본으로 들어있는 mstsc 명령어를 사용해서 접속하셨을텐데요, 한 두번 사용할때는 괜찮지만 여러 서버를 접속할때는 번거로워 서버 관리자가 사용하기에는 너무 불편합니다. 그럴 때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 관리 RDCM(Remote Desktop Connection Manager)을 사용하시면 매우 편리합니다.
Remote Desktop Connection Manager 프로그램은 2010년 5월 27일 2.2 버전이 릴리즈되었으며 여기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또는 하단에 첨부파일을 클릭하시면 있습니다. RDCMan.msi 실행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하시면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0EAD414F4706A137)
첨부파일에 있는 RDCM.zip 압축을 해제하면 실습.rdg 설정파일이 보입니다. 설정파일은 XML 형식이라서 메모장같은 편집기로 편집이 가능합니다. 서버 1대만 등록한 다음 나머지는 해당 구문을 복사해서 추가하시면 서버 여러대를 쉽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패스워드를 Plain Text로 저장하는게 가능해 해당 서버를 패스워드 입력없이 접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XML 파일에 패스워드가 그대로 노출되어 보안 문제가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첨부파일 :
RDCM.zip
![](https://t1.daumcdn.net/cfile/blog/133C3A414F4706A205)
기본적으로는 윈도우 셋팅값을 그대로 상속하기 때문에 <server>에서 <name>과 <displayName>, <password>에서 서버 IP 주소와 이름, 패스워드를 등록하고 바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Remote Desktop Connection Manager는 그룹 단위로 한꺼번에 Connect, Disconnect 하는 기능, 안정적이고 매우 직관적이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원격 데스크톱 자격 증명 저장하기
원격 데스크톱으로 서버에 연결할 때 저는 보통 귀찮아서 위 그림처럼 자격 증명을 저장해 둡니다. 매번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니까요. 그런데 만약 이렇게 원격으로 접속해야 할 서버 대수가 엄청 많고, 패스워드가 자주 바뀐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패스워드가 바뀔 때 마다 일일이 또 패스워드를 입력하시겠습니까?
윈도우 비스타 이상에서는 cmdkey라는 명령어를 통해 원격 데스크톱 자격 증명을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와 FOR문을 적절히 조합하면 수백대의 서버 패스워드가 변경되더라도 한꺼번에 자격 증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일단 사용법은 아래와 같은 형식입니다.
cmdkey /add:대상 이름 /user:사용자 이름 /pass:암호
예제)
cmdkey /add:192.168.0.3 /user:snoopy /pass:password
그런데 원격 데스크톱으로 저장한 자격 증명을 보니 이렇게 되어 있더군요.
예제)
cmdkey /add:TERMSRV/192.168.0.3 /user:snoopy /pass:password
다른 자격 증명과 구분하기 위해 TERMSRV/ 부분이 붙는 것 같은데 별로 중요하지는 않아 보입니다. 첫번째 방법처럼 바로 IP를 입력해도 되고, 두번째 방법처럼 TERMSRV/ 를 붙여줘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FOR문과 조합을 해보겠습니다. 엑셀에 서버 IP, 계정, 패스워드가 있다고 치고 이걸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면 가령 이렇게 되겠죠.
예제) serverlist.txt
192.168.0.10 |
administrator |
ucszgr#7~9 |
192.168.0.11 |
administrator |
jpgfym#0-3 |
192.168.0.12 |
administrator |
zsfwvy#8-6 |
192.168.0.13 |
snoopy |
jspwfg+0+4 |
192.168.0.14 |
snoopy |
hhembi%3*7 |
192.168.0.15 |
snoopy |
inrvzb*0#7 |
192.168.0.16 |
testuser |
hystpp-7@2 |
192.168.0.17 |
testuser |
zvcczr@3%5 |
192.168.0.18 |
testuser |
xpegwb@3-9 |
이 파일을 한줄씩 읽어들이며 자격 증명을 저장하면 되겠습니다.
예제)
for /f "tokens=1-3" %a in (serverlist.txt) do cmdkey /add:%a /user:%b /pass:%c
위 커맨드에서 %a, %b, %c는 각각 서버 IP, 계정, 패스워드를 받아줍니다. 그런데 배치파일 (*.cmd) 안에서는 FOR문을 돌릴 때 %a 대신 %%a를 사용합니다. 위 예제를 가지고 자격 증명 자장과 동시에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시도해볼까요?
예제) rdpsave.cmd
@echo off
for /f "tokens=1-3" %%a in (serverlist.txt) do (
cmdkey /add:%%a /user:%%b /pass:%%c
mstsc /v:%%a
)
exit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면... 사실 저는 엑셀 매크로를 생각해봤습니다. 엑셀 자료에 매크로를 적당히 걸어두고 IP만 클릭하면 자동으로 원격 데스크톱이 연결되는 그런 시나리오... 가능할 것 같기는 한데 엑셀 매크로에 대해 전혀 몰라서 아직 시도해보지는 않았습니다. 나중에 여유 되면 연구해 보겠습니다.
■■■■■■■■■■■■■■■■■■■■■■■■■■■■■■■■■■■■■■■■■■■■■■■■■■■■■■■■■■■■■■■■■■
Remote Desktop Connection Manager 2.2
원격 제어 사용.
보통 원격 제어를 사용할 때 실행 에서 mstsc를 이용해 ip를 넣고 접속을 하지만!!
여러개의 컴퓨터를 접속 할 때는 id와 password, ip도 햇갈리지만 !!
Remote Desktop Connection Manager를 사용하면
id/pw , ip를 저장 해 놓고 사용 할 수 있다.
MS download center 링크
http://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21101
Direct Download 링크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5/2/8/5282718D-87FE-4A4F-9226-789ACF368DB1/RDCMan.msi
설치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112B43B501CC4D224)
File->New를 통해 원격컴퓨터 들이 저장될 파일을 만든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1AF03B501CC4D31E)
Ctrl + A를 이용해 서버 추가시...
Server name에 IP를 입력하고 Display Name에는 RDCM에 표시되는 이름을 결정 해 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60B153B501CC4D32C)
User name,Password 에는 원격제어 되는 컴퓨터에 User ID와 Password를 입력하면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90BCE3B501CC4D42A)
Remote Desktop Setting에는
원격제어 되는 컴퓨터의 해상도를 정할 수 있다.
Custom을 사용 할 경우 표시되는 해상도를 임의로 바꿀 수 있다.
듀얼모니터 양쪽에 다 표시되게 하려면 해상도를 적당히 합치면 된다..
예제와 같은 경우는... 3000 x 980을 사용해 모니터 두개에 길게 나오게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04463B501CC4D632)
이렇게 여러개의 컴퓨터를 추가 시키면 관리하기가 쉽다.
ip, ID/PW를 다 안외워도 된다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40763B501CC4D701)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Connect, Disconnect를 할 수 있다.
Undock을 누르면 앞에서 했던거와 같은.. 3000 x 980해상도를 사용 할 수 있다.
■■■■■■■■■■■■■■■■■■■■■■■■■■■■■■■■■■■■■■■■■■■■■■■■■■■■■■■■■■■■■■■■■■
■■■■■■■■■■■■■■■■■■■■■■■■■■■■■■■■■■■■■■■■■■■■■■■■■■■■■■■■■■■■■■■■■■